Ⅰ. 서론
1. 주제 선정 동기, 목적
모두가 알고 있듯, 모든 민족 공동체는 자신만의 고유한 문화를 가진다. 즉, 문화는 그 공동체 어느 곳이라도 빠짐없이 영향을 미치고 우리는 그 영향을 받으며 문화라는 큰 틀 안에서 살아간다. 당연히 학문도 그 영향을 받았기에 같은 학문일지라도 민족마다 학문의 특색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것은 수학이라는 학문에서도 예외가 없다.
작년 ‘동양 수학과 서양 수학의 관점에 대한 비교분석’이라는 주제로 탐구보고서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현재 우리가 배우는 수학이 급격한 서구화로 인해 주로 서양의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동아시아의 수학은 단순히 수학의 참고서 정도가 되었음을 인지했다. 수천 년이란 시간 동안 중국의 문화 속에서 발달시킨 중국 특유의 수학은 서양 수학에 의해 동아시아의 수학과 함께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버렸고, ‘오로지 기록으로 남아있는 것’이 되었다. ‘동양수학사’를 읽어 문화권 별 수학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던 나는 이 탐구보고서를 통해 중국 고대의 수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Ⅱ본론
책소개/인용 -중국 수학의 시작
중국 수학사에 대해 알기 위하여 ‘중국 수학사- 이엄, 두석연’이라는 책을 읽었다.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로 각국의 수학은 각자 서로 다른 발전의 길을 걸었다고 소개를 하여 중국의 수학은 고대 바빌론, 고대 이집트, 고대 인도, 중세의 이슬람 세계와도 전혀 다른 수학의 길을 걸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중국은 고대부터 수를 헤아릴 때 십진 기수법十進記數法을 채택하였고, 계산에서는 산가지算籌를 도구로 사용했다. 제곱, 일차 연립 방정식, 다원 연립 고차 방정식 등의 풀이에 산가지가 기본적으로 이용된 것이다. 이 계산법은 다른 나라의 수학과 달리 매우 독특한 방법이었으며 이후 15세기가 되어서야 우리가 너무나도 잘 알고 있는 주산이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그리고 이후 중국 수학은 16세기 말에 서양의 수학이 들어옴에 따라 다양한 양상을 보이며 발전하였다. 서양인들은 과학과 기술을 이용한 선교 방식으로 중국의 문을 두드렸다. 하지만 중국은 서양의 과학적 성취를 수용하고자 하면서도 선교사들의 종교 활동에 경계심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쇄국 정책을 펼쳤다. 즉, 받아들고자는 하였으나 완전히 그들의 것을 수용하고 싶었지 않았던 것이다. 이에 따라 서양 수학의 완전한 중국 진입도 어려웠고, 대신에 기존에 전래된 서양 수학의 지식을 흡수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심화시키는 양상으로 나아갔다.
이러한 책의 흐름을 통해 전반적으로 수학은 그 나라의 문화와 연관 있어 나라마다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중국만은 독특한 풀이법들을 책에서 소개해주어 알게 되었는데, 추가로 조사한 내용과 함께 밑에서 소개하고자 한다.
2. 추가조사- 수의 시작
중국의 최초의 수학. 우리는 제일 먼저 고대 중국 문명에서는 수가 어떻게 등장했을까에 대해서 조사해보았다. 중국에서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수의 탄생과 관련한 신화가 있다. 기원전 2698년에서 기원전 2598년에 중국을 통치한 황제가 6명의 신하에게 명하여 만물을 다스리게 하였는데, 그중 한 명인 예수에게 산술을 만들도록 했다는 것이다. 단군 신화와 그리스 신화가 그러하듯이 이 신화는 매우 상징적이다. 따라서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중국의 문맥 속에서 신화를 해석에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우리가 주목해야 할 것은 중국에서의 수의 개념이 그만큼 오래전부터 사용되어왔다는 점이다.
2. 추가조사- 구장산술
주비산경이 수학의 내용을 담고 있기는 하지만 천문학 지식을 집대성한 책이므로 <구장산술>을 최초의 수학책이라고 바라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장산술>은 중국 수학 발달의 시초이자 선구적인 역할을 하기에 종종 원론의 내용과 비교하기도 한다. 총 9장으로 각 장마다 한 개씩의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토지 측량법 및 세금 계산을 위한 비례 배분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을 통해 수학이 일상생활에서 유용하게 쓰였다는 것을 유추해볼 수 있다.
다음 블로그의 내용에서 마저 이어 써보도록하겠다.
반응형
'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학2 주제탐구보고서-치올콥스키 방정식을 활용한 로켓 발사의 원리 탐구 (0) | 2024.04.30 |
---|---|
수학1 주제탐구보고서- 지수로그함수 살펴본 세균과 미생물의 성정 곡선 (0) | 2024.04.01 |
수학 주제탐구보고서- 중국의 고대 수학 발전 역사(2) (2) | 2024.03.15 |
기하 탐구보고서-내적외적의 활용: 게임을 중심으로 (0) | 2024.03.11 |
물리학2 주제탐구보고서- 케플러 법칙 증명 (0) | 2024.03.10 |